Monday, April 18, 2016

네가 나를 아느냐? (4월 12일 한국일보 칼럼)

마음까지 통할 수 있는 ‘절친한 친구’를 표현할 때 ‘지음(知音)’ 이라는 고사성어를 종종 사용한다. 이렇게 서로에 대해 잘 알고 마음까지 통하는 친구가 있다는 것은 분명 커다란 축복임이 틀림없다.

이 고사성어의 배경인 중국 춘추시대(春秋時期)와 비교한다면 초고속 정보통신 시대인 지금은 전세계 어디서나 핸드폰을 사용해 서로의 얼굴을 실시간으로 보며 대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당연히, 옛 시절보다 더 깊고 넓게 그리고 더 많은 절친한 친구를 만들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작금의 현실은 그와는 반대로 외로움을 호소하는 홀로족들이 전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런 현상과 더불어 페이스북, 트위터등 인터넷 사회 관계망(Social Networking Sites)을 통해 가상공간속(Online - Cyberspace) 친구를 만들고 관계를 형성하는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그런데 0 1의 비트(Bit)를 기반으로한 가상공간속의  인간관계는 얼굴을 보고 상호작용할 수 없는 단절성이라는 태생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런 시대에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누군가를 잘 안다고 자신있게 표현하는 것을 볼 수있다. 이 때 잘 안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조금더 자세히 들여다 보면, 아무개에 관해 안다 (Knowledge about someone)와 아무개를 안다 (Knowledge of someone)를 혼동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아무개에 관해 안다는 것은  A 라는 사람에 대해 그의 친구나 이웃 또는 다른 정보를 통해 간접적으로 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데, 유명 연애인의 혈액형, 가족관계, 취미, 좋아하는 것등을 꿰뚫고 있는 사람들의 대부분이 간접적인 경로를 통해 얹은 정보로 그 사람을 아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대조적으로 아무개를 안다는 것은 B라는 사람과  함께 시간을 보내며 대화도 하고 식사도 하며 상호작용을 통해 직접적으로 그 대상을 아는 것을 의미한다. 가족의 기본 구성인 아내와 남편의 관계 더 나아가 부모와 자녀의 관계가 이에 해당할 것이다.

그런데 이런 인간관계의 앎(Knowing)에 관해 혼동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정말 어떤 앎을 가지고 있는지 깨닫지 못해 더욱더 깊은 공허와 외로움 그리고 혼란속에 머물게 된다.

같은 맥락으로, 스스로 성경을 잘 안다는 사람을 만난적이 있었는데,  C 신약박사, D 구약박사, L 유명 설교자가 말하는 성경속 하나님에 대해 청산유수처럼 읇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었다.  그 사람은 자신이 가진 논리의 바탕이 되는 앎(Knowing), 자신이 직접 읽고 묵상하며 삶속에서 경험된 하나님에 관한 앎 (Knowledge of God)이 아닌, 제 삼자를 통해 얹어진 앎(Knowledge about God)이라는 것을 알지 못하고 있었다.

이것은 마치, 내 아내와 자녀들에 관해 옆집 사람의 입을 통해 알게 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안타까운 것은 많은 사람들이 일상의 분주함으로 인해 가장 가까워야할 하나님은 물론이거니와 남편과 아내, 아버지와 딸, 엄마와 아들 그리고 이웃에 대한 직접적 앎(Knowledge of )이 아닌 관한 앎(Knowledge about)이 팽배하다는 것이다. 이런 앎은 갈등과 회복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며 서로를 더욱더 깊게 이해하고 배려하며 사랑하는 관계를 형성하는데 방해가 된다.

이것을 해결하는 유일한 방법은 네가 나를 아느냐?” 라는 질문과 동시에 직접 상호관계속으로 들어가는 것밖에 없다.  예컨데 아이들이 셋이라면 평상시 아무리 세 아이와 함께 시간을 많이 보내더라도 따로 따로 한 아이씩 30분 또는 1시간씩 높은 수준의 시간(Quality time)을 가져야 한다. 많은 이웃과 함께모여 자주 교제를 할지라도 반드시 한 가족씩 따로 시간을 내서 교제하고 상호작용하는 앎(Knowing)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의 삶이 끝났을 때 네가 나를 아느냐?” 질문에 대답할 것을 매일 준비하는 우리가 되야겠다.


한국일보 링크:

No comments:

Post a Comment